성북문화도시센터, 지역 특성을 반영한 생활권역별 맞춤형 문화예술교육 사업 추진 내 5개 권역에서 펼쳐지는 각양각색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기대 성북문화재단 성북문화도시센터는 지역의 여건과 특성에 기반하여 다양한 분야·주제를 중심으로 주민들이 주도적으로 참여하는 ‘권역별 맞춤 문화예술교육’을 선보일 예정이다. 성북문화도시센터는 지역생활권을 바탕으로 지역 특성과 지역주민 의견을 반영해 ‘권역별 맞춤 문화예술교육’을 기획했다. 이번 사업은 일상 생활권 내에서 즐길 수 있는 다양한 장르의 문화예술 프로그램이며, 주민들의 문화적 욕구를 충족시키고 지역 문화예술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해 마련됐다. ‘권역별 맞춤 문화예술교육’은 △정릉 권역(빈칸을 짓는 시간), △길음·종암 권역(아빠는 놀이 친구), △장위·석관 권역(빛나리-빛나는 나의 리듬), △월곡 권역(천장산어흥학교), △성북·동선 권역(공간탐험대 탐탐) 등 5개 권역으로 운영된다. 먼저, ‘빈칸을 짓는 시간’은 정릉에 거주하는 1인 가구(청년층, 중장년층)를 대상으로 차와 시를 나누며 각자의 마음속 정적인 공간을 찾는다. 1인 가구로서 느끼는 쉼의 공간에 대해 사유하고 공유하는 시간을 갖고, 참여자 개개인의 일상 속 이야기를 담은 퍼포먼스 공연 및 시를 낭독하는 공유회를 진행한다. 오는 7월 29일(토)부터 8월 26일(토)까지 매주 토요일 복합문화공간 공백공유와 정릉 거리 일대에서 운영된다. 총 5회차에 걸쳐 1인 가구로서 내가 아닌 타인, 지역과 관계를 맺는 예술적인 방법을 모색할 예정이다. ‘아빠는 놀이 친구’는 길음·종암에 거주하는 아빠와 초등학교 저학년 자녀가 한 팀이 되어 오감 놀이, 놀이 운동회 등 가족 공동체 활동을 통해 정서적 유대감을 향상하고, 건강하게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는 놀이 문화예술교육이다. 움직임이 많은 활동으로 아빠와 아이가 서로의 협력과 소통을 통해 친교와 자존감을 높일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오는 △8월 12일(토), 19일(토) 서울시청자미디어센터 세미나실, △8월 26일(토) 종암박스파크에서 운영되며, 세부 일정은 기수별 프로그램에 따라 상이하다. ‘빛나리-빛나는 나의 리듬’은 장위·석관에 홀로 계신 어르신들의 고립감과 소외감을 감소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나와 함께 하는 사람들로부터 사회적 연결감을 회복하여 자기 삶의 빛나는 리듬을 다시 찾도록 돕는 무용동작치유 프로그램이다. 몸과 움직임을 기반으로 노년층의 예술참여와 창작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노년층의 사회참여를 더 끌어내고, 삶의 활력소를 되찾을 수 있게 도와준다. 지난 7월 11일(화)부터 오는 8월 8일(화)까지 매주 화요일 석관동주민센터에서 운영된다. ‘천장산어흥학교’는 월곡 권역에 거주하는 주민들이 천장산우화극장을 활동터와 배움터로 이용할 수 있도록 기획되었다. 참여자들은 생활예술로서의 연극, 몸 소리 워크숍 및 바디퍼커션 등을 배우고, 지역민 및 지역의 이야기를 직접 기획하고 풀어내는 과정을 거친다. 또 우화를 바탕으로 기본 교육, 실행 교육을 통해 연극 공연을 만들어 발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이 과정에서 참여자 중심의 일상 속 문화예술교육을 경험하게 되며, 오는 8월 한 달간 운영될 예정이다. ‘공간탐험대 탐탐’은 지역의 다양한 문화를 탐구하고 탐험해보는 프로그램으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운영된다. 시각·촉각·청각 등 감각 활동을 통한 다양성 탐구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이다. 서로의 다름을 인정하고 존중하는 마음을 배우고, 포용할 수 있는 감수성을 길러 다름으로 풍요로운 문화생태계를 조성하고자 기획되었다. 성북구에 거주하는 초등학생 24명을 대상으로 하며, 오는 8월 9일(수)부터 11일(금)까지 복합문화공간 미인도 및 성북시각장애인복지관에서 활동하게 된다. 프로그램별 세부 일정 및 운영 장소, 참여 방법 등 자세한 내용은 성북문화재단 홈페이지(www.sbculture.or.kr) 공지사항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성북구는 2021년 제4차 문화도시 예비사업 대상지로 선정되었으며, 성북문화도시센터는 ‘삶과 문화의 순환도시, 성북’을 비전으로 문화도시 조성 예비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번 사업을 통해 문화예술교육의 생활밀착형 인프라를 강화하여 누구나, 언제나, 어디서나 쉽게 만날 수 있는 문화예술교육 시스템의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